본문 바로가기
집안발견

물 끓일 때 생기는 하얀 찌꺼기, 정체는 충격적

by 에브리데이 Info 2025. 8. 25.
반응형

물때 낀 전기포트

전기포트 물때는 단순한 석회질이 아니라 세균·독소의 온상이 될 수 있어, 올바른 청소법과 물 관리가 건강을 지키는 핵심이다.

| 한눈에 보기

  • 전기포트 물때 = 칼슘·마그네슘 등 석회질
  • 방치 시 세균·곰팡이 번식 위험
  • 다시 끓이면 세균은 죽지만 독소·불순물은 남음
  • 구연산 외에도 식초·베이킹소다·레몬으로 청소 가능
  • 가장 안전한 습관 = 필요한 만큼만 끓이고 남은 물 버리기

본문

전기포트 물때, 하얀 가루의 정체

전기포트 안쪽에 하얗게 끼는 물때의 정체는 칼슘·마그네슘 등 석회질이다. 물이 끓으면서 증발하고, 남은 미네랄이 굳어 물때로 변한다. 특히 수돗물 경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물때가 더 빠르게 쌓인다.


건강에 미치는 영향

  • 소량 섭취: 미네랄 성분이라 큰 문제 없음.
  • 장기적 섭취: 석회질이 쌓이면 신장결석·요로결석 위험이 커진다.
  • 세균 번식: 물때 표면은 습기와 영양분이 많아 세균·곰팡이가 번식하기 좋은 환경. 위장 장애, 면역력 저하 유발 가능.

영국 보건청 자료에 따르면, 석회질이 많은 지역의 주민은 결석 발생률이 다른 지역보다 약 20% 높게 보고되었다.


남은 물, 다시 끓여 마셔도 괜찮을까?

많은 사람이 전기포트에 남은 물을 그냥 두었다 다시 끓여 마신다. 과연 안전할까?

  1. 세균 사멸 효과
    → 대부분의 세균은 100℃에서 1~2분이면 죽는다. 다시 끓이면 살균 효과는 있음.
  2. 그러나 독소와 불순물은 잔존
    → 세균이 죽어도 내독소(toxin) 같은 부산물은 남을 수 있음. 위가 예민한 사람에게는 부담이 될 수 있다.
  3. 재가열수(再加熱水)의 문제
    같은 물을 반복적으로 끓이면 석회질, 중금속 등이 농축된다. WHO에서도 반복 가열된 물은 권장하지 않는다.
    → 게다가 산소가 빠져 맛이 밍밍하고 탁해진다.

전기포트 중금속때

👉 따라서 다시 끓이면 단기적으로는 큰 문제 없지만, 장기적으로는 건강에 바람직하지 않다.
실천 습관: 필요한 만큼만 물을 끓이고, 남은 물은 버리는 게 최선.


전기포트 물때 청소법 (구연산 말고도 있다!)

  • 식초: 물과 1:1로 섞어 끓인 뒤 1시간 두고 헹굼. 살균 효과 탁월.
  • 베이킹소다: 500ml 물 + 1스푼 넣고 끓인 후 내부 문질러 세척.
  • 레몬 조각: 구연산 효과와 비슷, 향까지 상쾌. 다만 여러 번 헹궈야 함.
  • 콜라: 강한 산성으로 물때 제거 가능. 하지만 당분·첨가물 때문에 세척 후 꼼꼼한 헹굼 필수.

✅ 가장 추천하는 건 구연산·식초. 환경 친화적이고 살균 효과까지 확실하다.


| 오늘 업데이트 핵심

  • 전기포트 물때 = 석회질 + 세균 번식 위험
  • 남은 물 다시 끓이면 세균은 죽지만 독소·불순물은 남음
  • 구연산·식초·베이킹소다 활용한 정기적 청소가 필수

| 법·절차 요약 박스

  • 한국 수돗물은 경도·미네랄 기준 허용치 내 → 단기 섭취는 무해
  • 전기포트는 반드시 KC 인증 제품 사용 권장
  • 청소 시 전원 분리, 안전수칙 준수 필수
  • WHO 권고: 반복 끓인 물 장기간 섭취는 권장하지 않음

의견

전기포트 물때 있어도 다시 끓이면 괜찮고, 세균 다 없어질거야라고 생각했었는데, 실제로는 위생과 건강의 문제였습니다. 매일 마시는 물이니만큼 “남은 물은 버리고, 청소는 구연산+식초 루틴”을 정착시키는 게 장기적으로 건강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.

반응형